스마트스토어 1호기 일기

파워셀러 대량등록 위탁판매 18일차 - 마진율

평범한 갓저씨 2022. 6. 30. 02:59
728x90
반응형
SMALL

어디든 진상이 있다.

맞죠?ㅎ 사실 이 스마트스토어를 할 때 가장 좋았던 점은

고객과 얼굴 볼 일은 없겠구나... 였습니다.

식당을 할 때 사실 고객 응대가 많이 힘들었거든요.

그런데... 정말 진상은 어디든 있네요.ㅎ

오늘은 아침부터 진상 한 분 덕분에 기분이 잡치는 바람에 일이 손에 안 잡히더라구요.

그래도 그 분 덕분에 블로그에 한 줄을 쓸 꺼리가 생겼네요.

 

배송준비 숫자가 확 줄었고, 배송중 숫자도 줄었어요.

그래도 오늘은 반품이 없고... 교환이 생겼네요?ㅎㅎㅎ

확 늘지는 않았지만 구매확정은 서서히 올라오고 있어요.

하지만 제가 목표하는 숫자는 아직 멀었어요.

그리고 목표 마진을 맞추려면 좀 더 올라와야 해요.

스타트제로 혜택을 보고 있지만 이 혜택이 없었다면 순이익은 거의 0에 가깝지 않았을까 해요

음.. 많이는 아니지만 이제 30,000개에 거의 다다랐어요.

6월 목표를 채워야죠.

그래도 뭔가 전진하는 느낌이 있어야 하니까요.

무슨 수를 써서라도 7월 1일이 찍히기 전까지 30,000개 채우겠습니닷!!!

어제는 매출이 좀 있었습니다.ㅎ

하지만 오늘은 곤두박질이었네요.

물론 아직 그래프가 반영되지 않았지만 예상은 됩니다.^^

사실 손실이 나와서 취소를 제가 스스로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내일은 6월의 마지막 날이기도 하고, 2022년의 절반이기도 하니 손실이 아주 크지 않으면 모두 주문을 받아보려고요.ㅎ

대량등록 시작부터 보면 파워를 달 때까지는 꾸준히 증가를 했고,

파워 단 이후에는 확실히 수수료로 인한 마진 조정으로 인해 매줄이 확 주저앉았죠.

그래도 가장 높은 막대를 제외하면 제가 스스로 취소시킨 것들과 대량 등록으로 인해 재고 부족 취소건을 감안한다면

매출 자체는 많이 줄지는 않았습니다.

만일 손실을 입으면서도 지속적으로 매출을 일으켰다면 이 정도까지 주저앉지는 않았을 것 같아요.

그래도 저는 길게 가고 싶으니까요

사실 생각만큼 유입수가 올라오지 않는 것이 더 큰 걱정이긴 해요.

그런데 재미있는건...

두 빨간 박스를 보시면 비슷한 그래프를 그리고 있죠

10,000개를 채우고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 한 번은 주저 앉는 시기가 있었거요.

지금도 채워가는 과정에서 한 번 크게 증가를 했다가 다시 주저앉는 시기가 왔네요.

큰 상승 막대 앞/뒤로 큰 폭의 하락이 있었네요.

대량등록을 시작한 3월 중순부터 보면 확실히 제품의 수가 많으니 유입수는 꾸준하게 증가하는 걸 보여주긴 해요.

이제 슬슬 구체적인 두 번째 사업자 계획을 세워봐야 할 듯 해요.

사실 이미 구상해 놓은 아이템이 있긴 해요.

다만 두 번째 몰도 시작은 비슷하겠지만 컨셉은 다른 방향으로 해보려 해요.

두 번째 사업자는 지금과 달리 철저히 준비해서 4사분기 즈음 오픈을 해보려해요.

대신 두 번째 사업자와 세 번째 사업자는 거의 동시에 오픈을 해보려고요.

컨셉이 다른 이유는 곧 따로 포스팅을 해볼께요.

왜냐면 오늘은 며칠 전 약속한 대로 마진율에 대하여 가볍게 이야기를 해보려고요.

그 때도 이야기했지만 구체적인 숫자는 밝히지 않을 예정이에요.

어떤 유튜버는 20%의 마진율을 놓고 판매가를 책정한다고 하고

어떤 유튜버는 5%의 마진율을 놓고 판매가를 책정한다고 하고

과연 뭐가 정답일까요?

사실 정답은 없어요.

저도 팔다보면 확실하게 몇 %의 마진이 적정하다는 없어요.

물론 너무 과하면... 안 팔리겠죠?ㅎ

특히 카탈로그에 묶이면 마진은 포기하는 것이 맞아요.

이걸 글로 써야하니 참 답답할 노릇이긴 한데요.

가장 초보적인 방법인 퍼 올리기의 방식은 5% 정도의 마진으로 판매를 하셔도 지속적인 판매는 힘들 껍니다.

물론 이 초보적인 방법으로 퍼올리기 하는 분들은 또 곤조(?)가 있어서 10%이상의 마진을 책정하시죠.

그리고 이야기합니다.

"내가 대량등록 하는데 10% 이상 마진 보면서 팔잖아.. 개꿀이야~!!"

그러다 정산 받으면 깜짝 놀라죠.

왜 돈이 이것밖에 안 들어올까... 바로 수수료죠.

순이익은 3% 선상일 테니까요.

그럼 이거 못해먹을 짓이라고 대부분 포기하죠.

두 번째는 유튜브 보고 제목도 바꿔보고 SEO도 최적화하고 다 해보죠.

그런데 마진을 20% 잡습니다.

대부분의 유튜버들이 20% 정도 마진을 놓아도 6% 정도의 수수료를 떼니 그 정도는 벌어야 한다고 느낄테니까요.

하지만... 왜 나는 안팔릴까 마음이 들 때 즈음 접죠.

드리고 싶은 말씀은...

생각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그에 비해 적은 돈이 들어온다 입니다.

그래서 잘나가는 서과장의 서과장님이 5개 10개 사업자를 엄청나게 늘리는 이유는

하나의 스마트스토어에서 50~70만원 사이의 순이익이 나오고 그걸 10개로 만든다면 700의 순이익이 되니까

숫자로 승부하겠다..

이런 것이죠.

저는 대량등록 위탁판매를 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남들 200개 5,000개 10,000개의 상품으로 승부볼 때

저는 50,000개 100,000개 같이 다수의 갯수로 승부를 보겠다는 방식인거죠.

그 중 한 두 개는 잘 될 수 있지만 한 두 개는 망할 수도 있겠죠

제가 오늘 마진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로 했는데요.

위에 글을 잘 읽어보시면 제가 책정하는 대략의 마진을 아실 수 있을 듯 해요.

그리고 저는 실제로 이보다도 훨씬 낮은 마진을 보고 팔고 있어요

하지만 마진율을 올리는 방법이 있긴 하더라구요.

이 부분도 조만간 디테일하게 말씀드려 볼께요.

그리고... 두 번째 사업자를 내서 만들 때부터는 카테고리를 하나 더 만들어서 완전 처음부터 하는 모든 걸 올려볼께요.

그 때까지 존버

그리고 살아남기

꾸준함

선택

집중

오늘도 고생 많으셨어요.

모두 비피해 없길 바라며..

자도 이제 자러 갑니다요^^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