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하다보면 급여 계산 쉽지 않죠?
거기에 주휴 수당에 기타 등등...
특히 연봉제에 익숙치 않은 분들께는 더더욱 힘든 일이고,
이것이 소형 개인 사업주께서는 더욱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냥 저만의 간단한 엑셀을 만들어 사용 중에 있으며
이 자료를 공유해 볼까 합니다.
참고로 시급 기준이니 월급이나 연봉을 채택하신 분들께서는 굳이 사용 안하셔도 될 듯 하네요.
큰 틀은 위와 같습니다.
1. 근무시간
근무시간을 시간 단위로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예: 10시간 -> 10, 5시간 30분 -> 5.5)
2. 근무일수
근무일수를 숫자로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같은 칸을 왜 3개나 만들었을까요?
조금 더 세분화를 위해 나눠놓았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파일 하단에 사용법을 기재해 놓았습니다.
파일 우측 상단의 최저시급만 입력하시면 되게끔 해 놓았으니 2022년 최저시급이 발표되기 전까지는 업데이트가 필요없습니다.
다시 전체를 보시면
맨 우측은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경우에만 근무시간과 근무일수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주휴 수당을 지급할 필요가 없으면 파란색 화살표 안의 칸 내에만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파일에는 색깔이 좀 다르게 해놓았습니다.
파일 맨 우측에 보면 총계가 나옵니다.
매월 말 아르바이트 혹은 직원들과 이것을 보고 상호 확인을 합니다.
그리고 이 파일을 세무사에 보내 급여내역서를 받습니다.
(4대 보험의 경우, 계산은 보통 세무사가 해주시니 이 파일 하나로 끝냅니다.)
이상 제가 만든 급여 계산표였습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하네요.
그럼 오늘도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