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20210914] “서울 빌라 월세도 힘들다”… 보증금 5683만원·월세 62만원 ‘역대 최고’

평범한 갓저씨 2021. 9. 14. 11:49
728x90
반응형
SMALL

서울 연립·다세대(빌라) 월셋집에 살기 위해 평균 5683만원의 보증금에 62만원의 월세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월세 보증금과 월세 모두 역대 최고치다.

지난달 24일 서울 종로구 빌라 밀집지역 / 연합뉴스

14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3가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연립·다세대 평균 월세와 월세 보증금을 조사한 결과, 7월 기준 평균 월세는 62만4000원으로 조사됐다.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5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전월세전환율 등을 고려하면 평균 월세는 더 높아진다. 서울 빌라 7월 평균 전세금(2억4300만원)과, 이를 통해 구한 전월세전환율이 4%라는 점을 감안하면 월세 보증금이 1000만원일 경우 월세는 78만원까지 치솟는다. 올해 기준 4인가구 중위소득(487만6290원)의 16%다.

지역별 평균 월세는 강북 도심권(종로구·중구·용산구)과 강남 동남권(서초구·강남구·송파구 등) 빌라가 각각 84만4000원과 88만8000원으로, 서울 평균치를 35% 이상 웃돌았다. 강북 서북권(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의 평균 월세는 55만7000원, 강남 서남권(양천구·강서구·구로구 등)은 52만1000만원으로 서울 평균을 밑돌았다.

서울 빌라 평균 월세 보증금도 5683만7000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2886만1000원)과 비교하면 2배(96.9%) 정도 높다. 서울에서 월세 보증금이 가장 높은 강북 도심권으로, 평균 월세 보증금이 9480만4000원에 달했다. 강남 동남권은 8782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경기도 역시 월세와 월세 보증금이 역대 최고 수준이다. 과천·안양·성남·군포·의왕 등이 포함된 경기 경부1권 빌라 평균 월세는 98만4000원으로 전국 시·군·구 권역 중 가장 높았다. 경기 평균 월세(50만원)의 약 2배에 이른다. 경부1권 빌라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건설과 수도권 3기 신도시 개발 여파로 매매가도 크게 올랐는데, 임대 시장도 이 영향을 받았다고 다방은 분석했다.

서울 빌라의 전세가격 대비 보증금 비율은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서울 빌라의 7월 전세가 대비 보증금 비율은 22.3%로, 전달보다 0.6%포인트 감소했다. 이 수치는 2017년 1월만 해도 29.4%였다. 보증금보다 월세를 많이 받는 것을 선호하는 집주인이 늘고 있는 것이다.

다방 관계자는 “임대 시장 수급 균형이 깨지면서 월세와 월세 보증금이 모두 오르고 있다”면서 “계약갱신청구권 등 임대차 3법으로 내년 임대 물량도 묶일 가능성이 커 수급 상황이 급격하게 좋아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대차3법이 문제인 이유가 서서히 붉어지고 있네요.

계약갱신청구권제로 인해 그동안 막혀있던 전세값은 엄청난 폭등이 예상됩니다.

대출도 어려운데 새로운 전세를 찾아가야 하는 무주택 서민들에게는 엄청난 부담이 될 것입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어쩌면 갭투자의 기회가 또 다시 올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그와 반면에 역전세에 대한 부담도 분명히 있습니다.

신중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임에는 틀림없지만 그렇다고 폭등의 장에서 손을 놓고 있는 것도 문제이긴 합니다.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빠른 결정이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