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투자 45

[20210910] "금리 올리면 집값 덜 오른다"...금리 추가인상 군불 때는 한은

[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박종석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1년 9월)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2021.09.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거듭 시사했다. 우리 경제의 성장세 지속과 높은 물가상승률, 누적된 금융불균형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점차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기준금리를 올리면 물가·가계부채·주택가격 상승세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자체 분석 결과도 함께 제시했다.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 들어가" 한국은행은 9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코로나19(COVID-19) 관련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지만 국내 경제가 양호한 성장세를..

부동산 2021.09.10

[20210909] 금리 올랐는데 안 떨어지는 아파트값…왜?

한국부동산원, 9월 1주 아파트값 상승률 수도권·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전주 동일 재건축·교통호재 단지 위주로 상승 이어져 매물 부족 영향도…다만 지방 상승폭 축소 [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금리 인상에서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폭이 줄지 않고 있다. 9월 1주 수도권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전주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재건축 단지 위주로, 경기도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호재가 있는 곳과 저가 지역 위주로 올랐다. 다만 지방 아파트값 상승폭이 축소되면서 전국 전체 아파트값 상승률은 둔화세를 보였다. ◇서울은 ‘재건축’ 단지가 시세 이끌어 ​ 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첫째주 서울과 수도권(서울·경기·인천 포함)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각각 0.21%, 0.4%를 기록, 전주와 동일했다. ..

부동산 2021.09.09

[20210908] "서울 빌라 지하까지 폭등"…평균 전셋값 1억원 '돌파'

서초구 1억7천만원으로 자치구 중 최고 반지하 등이 포함된 지하 주거지가 매우 열악한 주거환경에도 불구하고 전셋값 상승행렬에 동참했다. ​ 8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가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2017년부터 올해(8월 말)까지 서울에서 전세 거래된 전용 60㎡ 이하 빌라 지하층 전세 보증금을 연간 기준 조사한 결과 올해 평균은 1억435만원으로 조사됐다. ​ 서울 빌라 지하층의 평균 전셋값이 1억원을 돌파한 것은 국토부가 관련 실거래가를 집계한 지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서울 빌라 지하층 평균 전셋값은 지난 2017년 7천801만원을 기록했고, 2018년 8천814만원으로 치솟았다. 지난해에는 9천500만원, 올해는 1억원을 넘어서며 가파른 상승 폭..

부동산 2021.09.08

[20210907] 공동 vs 단독, 어느 게 종부세 덜 낼까…16일부터 변경 신청

부부 공동명의 1주택자가 1세대 1주택 단독명의자와 같은 방식으로 종합부동산세를 낼 수 있도록 신청하는 절차가 이달 16일부터 30일까지 처음으로 진행된다. 지난해 말 개정된 종부세법과 이에 따른 시행령에 따른 것이다. 지난달 말 국회를 통과한 종부세법 개정안에 따르면, 올해 1세대 1주택자는 기본공제 6억원에 5억원을 더한 11억원을 공제받고, 부부 공동명의자는 각자 6억원씩 총 12억원을 공제받는다. 기본적으로는 부부 공동명의가 1주택 단독명의보다는 유리하지만, 1세대 1주택 단독명의자들은 공동명의자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 고령자·장기보유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 ◇나이 많을수록, 주택 비쌀수록 단독명의 방식 납부 유리 ​ 현행 종부세법상 만 60세 이상 만 65세 미만에 20%, 만 65세 이상..

부동산 2021.09.07

[20210902] 수도권 상위20% 집값 15억원 돌파…文정부 들어 약 2배 뛰었다

KB리브부동산 통계 4년3개월간 7.9억→15.1억 ‘91% 증가’ 수도권 5분위 배율은 하향곡선 ​ [이데일리 김나리 기자] 최근 서울을 비롯한 경기·인천 집값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수도권 상위 20% 주택가격이 처음으로 평균 15억원을 돌파했다. 현 정부 출범 당시에는 8억원에 미치지 못했던 집값이 4년 3개월 만에 2배 가까이 뛴 것이다. 2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의 월간 주택가격 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5분위(상위 20%) 주택가격은 평균 15억893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KB가 수도권 통계를 공개하기 시작한 2013년 4월 이후 최고치로, 15억원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수도권 5분위 주택값은 2018년 9월 평균 10억원을 넘긴 뒤 2019년 12월 11억원을 돌파..

부동산 2021.09.02

[20210901] "평당 4천…이게 아파트 전세값이라고?" 文정부서 강남 평균 1500만원↑

대치 은마 전세 2017년 5.2억→지난 달 10.5억 은마아파트 전경 [매경DB] 강남구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셋값이 처음으로 4000만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치솟는 집값 안정을 위해 정부가 수도권 3기 신도시 및 신규 택지 지정 등 주택공급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서울의 경우 집값은 커녕, 전세가격도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 1일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문정부 출범 당시인 2017년 5월 2537만5000원이었던 강남구의 3.3㎡당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올해 8월 4023만8000원으로 약 4년 만에 1486만3000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액이다. ​ 같은 기간 서초구와 송파구의 3.3㎡당 기준 평균 아파트 전셋값도 각각 ..

부동산 2021.09.01

[20210831] 7월 전국 미분양 주택 1만5198가구 '역대 최저'

7월 전국 미분양주택 현황. 국토부 자료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 31일 국토교통부는 7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총 1만5198가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6월 말(1만6289가구) 대비 6.7%(1091가구) 줄어든 수준으로, 정부가 2000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소치다. ​ 전국 미분양 주택은 지난 3월 1만5270가구까지 줄었다가 4월(1만5798가구) 반등한 뒤 증감을 반복하며 감소로 수렴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집값 불안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새 아파트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이 많아지면서 미분양 주택이 많이 팔린 것으로 풀이된다. ​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1381가구로 전달 대비 17.1% 줄었고, 지방은 1만3817가구로 5.5% 줄었다. 수도권에선 특히 ..

부동산 2021.08.31

[20210830] 수도권·세종 빈 땅 긁어모아 14만가구 공급...첫 입주는 빨라야 2029년

국토교통부가 ‘2·4 대책’ 때 발표한 25만 가구 규모 신규 공공택지 중 잔여 물량 14만 가구의 입지를 30일 공개했다. 당초 상반기 중 발표될 예정이었지만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들의 신도시 예정지역 땅 투기 사태 이후 신규 택지 후보지의 공직자 투기 여부를 검증하느라 늦어졌다. 13만1000가구가 발표될 예정이었지만 최근 주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해 9000가구 늘렸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 이날 발표된 택지는 수도권 7곳 12만 가구, 지방 3곳 2만 가구로 구성된다. 수도권에서는 의왕·군포·안산지구 4만1000가구를 비롯해 화성진안(2만9000가구), 인천구월(1만8000가구), 화성봉담3(1만7000가구), 남양주진건(7000가구) 등이 조성되고 지방에서는 대전죽동2(7000가구), 세..

부동산 2021.08.30

[20210825] “한달새 30%상승…아파트따라 서울 빌라도 불장”

서울 연립·다세대 평균 매매가 한달새 28.1% 올라 평균 3억4629만원, 2012년 1월 이후 최대 상승률 전국 매매가도 16% 상승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한국부동산원(이하 부동산원)의 표본 변화로 7월 서울 연립·다세대 평균 매매가와 전세금이 한 달 만에 30% 정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2년 1월 이후 평균 매매가와 전셋값 상승률 모두 월간 기준으로 가장 높다. 대표사진 삭제 서울 용산구 후암동 일대 빌라 밀집 지역 [헤럴드경제DB] 24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3는 부동산원의 연립·다세대(이하 빌라) 평균 매매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밝혔다. 서울은 7월 3억4629만원으로 전달보다 28.1% 올랐다. 전국 평균 매매가는 2억21..

부동산 2021.08.25

[20210818] 중국인은 부천 부동산… 미국인은 평택 많이 사

외국인 부동산 매입 작년 2만명 중국인 9년째 1위, 올해 62.5%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취득이 늘어난 가운데, 중국인이 9년 연속 가장 많은 부동산을 매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 17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를 분석한 결과, 국내 부동산을 산 외국인은 작년 1만9368명으로 2010년(4307명)보다 4배 이상 증가했다. 전체 거래에서 외국인 매수자가 차지하는 비율도 10년 사이 0.2%에서 0.63%로 늘었다. 올해는 지난 7월까지 전체 부동산 매수인의 0.69%가 외국인이었다. 중국인은 2013년부터 올해까지 9년째 국내 부동산 매입이 가장 많은 외국인이었다. 재작년 70.6%, 작년 69.3%, 올해 62.5% 등 외국인 매수의 3분의 2 정도가 중국인이다. 반면 미국인은..

부동산 2021.08.1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