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1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문재인 정부 들어 서울의 전용면적 135㎡ 초과 대형 아파트값이 평균 10억원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에 따르면 서울 대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17년 5월 14억7153만원에서 올해 10월 24억7301만원으로 10억원148만원 상승했다.
문재인 정부는 2019년 12월 초고가 주택가격을 억제하기 위해 15억원이 넘는 주택은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했다. 하지만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 증가와 서울 아파트 공급부족 등이 겹치며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열풍으로 대형 아파트값이 크게 치솟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대치동 '대치 아이파크' 전용면적 149.78㎡은 2017년 5월 18억9000만원(14층)에 거래됐다. 이 주택형은 올해 10월 7일 46억원(25층)에 손바뀜하며, 4년 5개월 만에 27억1000만원 올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일반적으로 대형 아파트는 가격이 높아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지만, 계속되는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현상에 대형 아파트 가격까지 치솟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애초부터 대형평수는 공급이 부족했습니다.
아파트 가격이 오른 건 맞지만 대형평수를 운운하기엔 자료가 너무 부족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주태공급 확대를 시작했을 당시부터 햇가족화를 언급하며 대형평수 분양이 어려워진다고 이야기했기 때문에
건설회사는 대형평수 공급량을 줄였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이렇게 된 것이죠.
하지만 집값이 오른 것과 대형평수가 많이 오른 것은 좀 다른 부분인 듯 하네요.
중요한 것은 집값 전체가 올랐다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닌가 싶은데요.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세훈표 '신통기획'…청파2구역·창신 등 재개발 21곳 선정 (0) | 2021.12.28 |
---|---|
매매도 전세도 양극화 심화…아파트 5분위 배율 역대 최대 (0) | 2021.11.30 |
"서울서 살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빌라 매입"…서울 주택 거래 절반이 빌라 (0) | 2021.11.17 |
더샵 송도 엘테라스 청약 그리고 땡 (0) | 2021.11.09 |
[강의 후기] 발품 불패 민팡이님 특강 2회차 (0) | 2021.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