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중구, 성동구 아파트 일대. 자료사진 연합뉴스
서울의 평균 아파트값이 올해 들어서만 1억5천만원 넘게 오르며 약 12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5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주택가격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1억9천978만원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12월(10억4천299만원) 대비 9개월 만에 1억5천만원 넘게 올랐다.
앞서 지난 4월(11억1천123만원) 처음으로 11억원을 돌파했으며, 이달 중 12억원도 넘어설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같은 기간 강북권 14개 구의 평균 아파트값은 9억5천944만원, 강남권 11개 구의 평균 아파트값은 14억2천980만원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값 상승으로 수요가 수도권으로 옮겨가면서 경기·인천의 아파트값도 덩달아 오르는 모습이다.
지난달 경기의 아파트값은 5억8천242만원으로, 전달(5억5천950만원) 대비 2천292만원 상승했다.
특히 인천은 평균 아파트값이 지난달 4억1천376만원을 기록하는 등 올해 17개 시·도에서 집값 상승세가 가장 거세다.
수도권 전체적으로는 지난달 평균 아파트값이 7억6천392만원으로, 전달 대비 2천356만원 상승했다.
지난달 전국의 평균 아파트값은 5억3천624만원으로, 전달 대비 1천302만원 올랐다.
▶전셋값도 상승세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6억5천365만원으로 전달(6억4천345만원)보다 1천20만원 상승했다.
지난 3월(6억652만원) 6억원을 넘은 데 이어 6개월 만에 6억5천만원 선마저 돌파한 셈이다.
서울에서는 강북권이 5억3천496만원으로 5억3천만원을, 강남권은 7억5천848만원으로 7억5천만원을 각각 넘겼다.
지난달 경기와 인천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은 각각 3억7천152만원, 2억7천487만원을 기록해 전달의 3억6천172만원, 2억6천244만원에서 오름세를 이어갔다.
올해 1월 처음으로 4억원을 돌파한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지난달(4억5천83만원) 4억5천만원마저 넘어섰다.
과연 언제 멈출까요?
그러면 이게 멈추긴 할까요?
어떤 사람들은 계속 간다.
어떤 사람들은 곧 떨어진다.
폭락의 장이 올 것이다.
다들 의견이 분분합니다.
저요?
저는 조정의 장은 곧 올 듯 하지만 엄청난 폭락의 장 혹은 내일 당장 조정이 오지는 않을 듯 합니다.
오히려 지금 현금부자들에게는 줍줍의 찬스죠.
그들은 대출이 막힌 급매를 조금씩 사들일 겁니다.
결국 입지 좋은 아파트들은 가격이 유지되겠죠.
하지만 그 외에는 조금 힘들지 않을가 싶어요.
그래서 조정의 폭이 일부는 크지만 일부는 오히려 더 오를 수도 있다 보네요.
지금부터는 옥석고르기를 잘 해야 할 듯 하네요.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규제로 실수요자 5.7만세대 입주대란 우려" (2) | 2021.10.06 |
---|---|
오송파라곤 센트럴시티2차 청약 (0) | 2021.10.06 |
집값 정부가 올려놓고…" 대출규제 성토 국민청원 봇물 (2) | 2021.10.04 |
[20211001] 89억 타워팰리스 100% 대출로 산 중국인…"이게 나랴냐" 분노 폭발 (2) | 2021.10.01 |
[20210930] 지방 아파트 분양가격 더 올라간다..."가격심사에 주변시세 반영" (0) | 202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