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 은마 전세 2017년 5.2억→지난 달 10.5억
은마아파트 전경 [매경DB]
강남구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셋값이 처음으로 4000만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솟는 집값 안정을 위해 정부가 수도권 3기 신도시 및 신규 택지 지정 등 주택공급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서울의 경우 집값은 커녕, 전세가격도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일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문정부 출범 당시인 2017년 5월 2537만5000원이었던 강남구의 3.3㎡당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올해 8월 4023만8000원으로 약 4년 만에 1486만3000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액이다.
같은 기간 서초구와 송파구의 3.3㎡당 기준 평균 아파트 전셋값도 각각 1399만4000원(2432만3000원→3831만7000원), 1046만6000원(1879만7000원→2926만3000원) 올라 문 정부 이후 강남3구가 유일하게 3.3㎡당 아파트 평균전세가격이 1000만원 이상 뛰었다.
2017년 5월~2021년 8월 3.3㎡당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 [단위 = 만원, 자료 = kb부동산]
일례로 대치동 은마 전용 84㎡의 전셋값은 2017년 5월 5억2000만원(11층)에서 지난달 10억5000만원(10층)으로 5억원(5억3000만원, 101.9%) 넘게 뛰었다.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59㎡와 잠실동 엘스 전용 84㎡도 같은 기간 각각 7억1000만원(8억4000만원→15억5000만원, 84.5% ), 6억1000만원(8억3000만원→14억4000만원, 73.5%) 오른 가격에 전세계약이 체결됐다.
서울 전세가격 상승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작년 7월말 시행한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으로 전셋값이 치솟은 데다 가을 이사철 도래와 재건축 이주수요 증가에 따른 전세매물 부족을 해소할 마땅한 방법이 없어서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정부는 '임대차2법 시행 1년만에 전월세 계약갱신율이 평균 77.7%로 직전 1년 평균 57.22 대비 대폭 늘어났다'며 세입자 주거 안정에 기여했다고 자평하고 있지만, 기존 세입자가 아닌 신규 계약은 이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없고 공급 물량과 전세매물 감소로 전셋값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세값이 평당 4,000만원이면 몇 년 전 아파트 한 채 가격이네요.
문제는 전세값이 떨어질 만한 여건이 안된다는 점입니다.
거래 절벽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요와 공급이라는 경제 논리로 봤을 때, 안타깝지만 집값, 전세값 그리고 월세까지...
당분간은 모두 상승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공급량의 부족도 문제고
금리 인상도 문제고
복잡한 문제가 얽히고 섥혀있네요.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903] 서울 전세 갈데가 없다, 강북 절반이 5억 이상 (0) | 2021.09.03 |
---|---|
[20210902] 수도권 상위20% 집값 15억원 돌파…文정부 들어 약 2배 뛰었다 (0) | 2021.09.02 |
[20210831] 7월 전국 미분양 주택 1만5198가구 '역대 최저' (2) | 2021.08.31 |
[20210830] 수도권·세종 빈 땅 긁어모아 14만가구 공급...첫 입주는 빨라야 2029년 (2) | 2021.08.30 |
[20210827] "집값 내린다"vs"계속 오른다"…금리인상에 시장선 '갑론을박'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