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번e편한세상캐슬1차, 2017년 분양가 4억 4000만원서 올 9월 11억7000만원
아파트 수요 많지만, 공급 부족한 서울…새 아파트들 희소성 높아지면서 가격 상승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분양한 서울 아파트 단지 10곳의 가격이 평균 10억원 넘게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가 출범 첫해인 2017년 5월부터 그해 12월까지 분양한 서울 아파트 가운데 올해 9월 실거래된 10곳의 가격은 분양가 대비 평균 10억2000만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 상승률은 128.3%에 이른다.
분양가 대비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2017년 11월 은평구 응암동에서 분양된 ‘녹번 e편한세상캐슬1차’ 59.97㎡(전용면적)이다. 당시 분양가 4억4000만원이었던 이 아파트는 지난달 11억7500만원(18층)에 거래돼 분양가 대비 7억3500만원(167.0%) 올랐다.
SK에코플랜트(구 SK건설)가 영등포구 신길동에서 그해 5월 분양한 ‘보라매SK뷰’ 84.98㎡ 역시 6억7000만원에서 17억원으로 4년여 만에 10억3000만원(153.7%)이 뛰었다. 같은해 6월 분양된 양천구 신월동 ‘목동센트럴아이파크위브1단지’ 84.96㎡는 5억8000만원에서 14억원으로 올라 상승률이 141.4%였다.
가격 기준으로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서초구 잠원동 ‘반포센트럴자이’ 114.96㎡였다. 그해 9월 19억1000만원에 분양한 이 아파트는 지난달 45억원에 실거래가 이뤄져 분양가 대비 25억9000만원이나 급등했다.
10개 단지중 가장 상승률이 낮은 목동센트럴아이파크위브 3단지 52.85㎡조차 가격 상승률은 100%가 넘었다. 최근 실거래가는 8억5000만원으로 분양가 4억2000만원 대비 4억3000만원 뛰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새 아파트 수요는 많은데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면서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공급이 부족하다
10억이 올랐다
모두가 아는 내용이 아닌가 싶은데요.
그것보다 앞으로 공급물량을 어떻게 늘릴지 어떤 방식으로 지금의 과열을 잠재울 것인지
뭔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이 필요한 시기 아닌가 싶네요.
2016년과 2017년 최순실 사태일 때, 집 너무 많이 지었다며
아파트값 폭락한다고 했던 시기에 집을 산 사람들은 모두 돈을 벌었다는 이야기네요.
2018년 이후, 주택 공급이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주택수를 늘렸다면
지금과 같은 광란의 아파트값 폭주는 없었을 듯 한데요.
당장 5년만을 보고 정책을 내놓으니...
욕 먹을 각오하고 10년을 내다보는 정책을 제시해 주실 분 없나 싶네요.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 막아도 소용없네"…서울 집값 5개월 연속 상승폭 커져 (0) | 2021.10.15 |
---|---|
금융위 "전세대출 중단 없다"…정치권·국민 여론에 일단 '백기'(종합) (0) | 2021.10.14 |
한은, 기준금리 연 0.75%로 동결 (0) | 2021.10.12 |
“실수요자 위한 전세대출 규제 하지 말아주세요” (2) | 2021.10.11 |
'대출규제도 소용없나'…집값 또 올랐다 (2) | 2021.10.09 |